큰 의미가 있다기 보다는 참고용으로만 본다, 이게 좋은 동네와 나쁜동네를 나누는 절대적인 기준이 된다기보다는 상대적으로 좋은 동네일 수 있다고 참고하는 지표는 될 수도 있을 듯 하다.
n.news.naver.com/article/008/0004522796
가장 안전한 곳은 '서울 용산'…전국안전지도 나왔다
[머니투데이 정현수 기자, 기성훈 기자] [[2021 사회안전지수]주민 체감도까지 반영한 사회안전지수 첫 공개…조사대상 중 최하점은 '대구 서구'] 서울 용산구가 전국에서 가장 안심하고 살 수 있
n.news.naver.com
서울은 강남이 아니고, 용산구가 1위라니... 강남구는 2위다. 거기에 점수가 70점대 이상이라는 건 분명학게 다른 곳과 차별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 아닐까? 충남에서 독보적인 1위가 세종시가 아닌 계룡시라니... 세종시는 순위에도 없다. 육해공 본부가 모여있어서 역시 안전한 곳? 군부대의 위엄. 근데 가보면 그닥인 동네다 ㅋㅋㅋ
몇몇 동네에 주거하시는 분 입장에서는 화나실 수 있는 내용.
사회안전지수 전체순위가 가장 낮은 지자체는 대구 서구(33.37점)로 집계됐다. 대구 서구는 생활안전 분야의 지표가 가장 좋지 않았다. 생활안전 분야는 치안시설, 119안전센터, 방범CCTV(폐쇄회로), 교통사고 발생건수와 주민들의 체감도로 점수를 매겼다.
대구 서구에 이어 인천의 미추홀구(35.02점), 계양구(37.77점), 경상북도 구미시(38.20점), 경기도 의정부시(39.10점) 순으로 순위가 낮았다. 이들 지자체는 인구가 10만~50만명인 곳으로, 인구가 50만명 이상인 지자체 중에선 인천 서구(117위)의 점수가 제일 좋지 않았다.
이성건 성신여대 데이터사이언스센터 소장은 "객관적인 인프라라고 할 수 있는 안전과 실제 체감의 영역인 안심을 함께 측정한 것이 이번 조사의 차별성"이라며 "해당 지자체의 상대적인 위치를 가늠해보고, 세부 지표를 통해 주민들에 대한 서비스 질의 향상을 도모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냥 재미(?)로만 참고하는게 좋겠다. 분명히 이거 가지고, 부동산 까페나 블록그에서는 역시 싸구려 동네라면서 까내려가는 글을 쓰면서 키득키득대는 이들이 있을 것인데, 분명히 멍청한 짓이다. 이 지표를 참고해서 각 지자체에서는 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분석해서 단점을 보완하는 계기 혹은 참고자료로 사용을 해야하는 거지 부동산 가격 가지고 왈가왈부할 내용은 절대 아니라는 것.
'부동산 - 참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원 의창·성산구 행정구역 조정 확정 (0) | 2021.05.28 |
---|---|
서울 6억이하 아파트들. (0) | 2021.04.28 |
부산 구축아파트 리모델링 시장 예측! (0) | 2020.12.16 |
아파트 공시지가 조회 (0) | 2020.12.15 |
양산시 남물금IC 개통 2023년 (0) | 2020.1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