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 나만의 생각

창원시 주택 보급률 현황

by Vesselor 2019. 12. 27.

요즘엔 공개된 정보가 참 많아서, 어떤 고급 정보를 얻느냐의 문제보다는 기존의 정보를 어떻게 찾고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중요하다. 정보가 없는게 아니고 어디서 어떻게 찾는지를 모르고 출처를 찾아서 보기는 귀찮다 보니, 기사 하나만 올라와도 그게 100%라고 확신하고 의사결정에 활용하기도 하는데, 돈이 걸린 중요한 문제를 그렇게 처리해서는 안된다. 고로 뭐든지 출처를 제대로 찾아볼 필요가 있겠다.

 

미분양 현황과 직결되는 주택 보급률을 한 번 찾아보자. 

 

현재 인구는 나름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나, 역시나 의창구와 성산구가 높은 편이다. 

 

전입보다 전출이 많고, 차량등록도 감소중인걸 보면... 고민해볼 필요가 있는 지역은 맞다. 

 

난 아파트에 관심있으니깐 아래 사이트에 접속한다. 

 

https://www.changwon.go.kr/stat/main.do

 

창원시 통계정보시스템

 

www.changwon.go.kr

통계연보에서 2018년 연보보기 선택

통계연보에서 내가 찾고싶은 자료를 검색해본다.

 

가장 궁금한 주택 보급률.

창원만 보면 비교가 안되니,

일단 서울과 비교 서울은 뭔가 검색이 불편하게 되어 있어서 엑셀로 export 시켜서 캡쳐해봄.

서울시 통계연보는 아래에서

https://opengov.seoul.go.kr/public/list/10169

 

서울통계연보 | 주요통계 | 공통업무 | 공표목록 | 사전정보공표 | 서울시 정보소통광장(정보공개)

사전정보공개란?공공기관이 국민이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 정보에 대해 정기적으로 공개하는 것을 말합니다.(더보기) 사전정보공표 대상 비공개 대상 정보 외에 국민이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 모든 정보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7조 제1항 및 제2항) ◾ 서울시민의 생활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정책에 관한 정보 ◾ 서울시 정책으로 시행하는 공사(工事) 등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에 관한 정보 ◾ 예산집행의 내용과 사업평가 결과 등 행정감시를 위하

opengov.seoul.go.kr

서울의 집값이 비싼 이유가... 있었군. 96.3% vs 창원 108%

전국단위로 보면 지방은 대부분 100%를 초과하는데, 전국 평균을 상회한다. 뭐 직접적으로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는 없지만 말이다. 

 

 

주택보급률은 100%를 초과하는데, 인구가 점점 줄어든다?! ㅜㅜ 안대잉~

 

출산율이 낮아서 줄어드는게 아니라, 전입보다 전출이 더 많다.  

내 입맛에 맞게 편집. 제조업 업황과 함께 전입전출이 이뤄진다고 봐야하나? 

 

 

단순한 숫자만 보고 투자를 결정할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기사에 나오는 숫자들이 어떻게 나오는지는 확인하고 넘어가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