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난번에, 광주 관련 글을 적다가 마곡나루역이 10년전에 비교하면 천지개벽을 했으니, 그러한 요지들을 잘 살펴보면 결국에 보상을 받을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식의 글을 적었는데, 오늘 그 생각이 살짝 바뀌게 되었다.
마곡나루역 10년전.
https://momoblogs.tistory.com/150
광주 도시철도 2호선 진행상황
부전-마산 복선전철은 기대하기도 힘든 공정률을 보여주는 것 같아, 보던중에 다른 도시의 지하철 진행상황을 한 번 살펴보면서 부동산도 함께 지켜본다. 12월 개통이라고 하는데,,, 뭐 뻔하지
momoblogs.tistory.com
왜 생각이 바꼈냐면, 공항가는 길 택시안에서 본 역사 때문,
History 말고 Station.
부산의 3호선 강서구청역.
처음엔 김해경전철 라인의 정차역중 하나겠거니 했는데, 지도로 보니 무려 부산 지하철이었던 것.
100%믿을순 없지만, 2005년 개통이래 연간 150만명정도가 이용한다는 건데, 150만명 이용이면 저렇게 휑하게 운항된다는 것을 객관적인 사실로 알 수 있음. 지방은 아무리 지하철 역이라고 해봤자, 핵심상권이 아니면 무리데스라는 의미 아닐까? 최소한의 수요가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지하철이고 경전철이고 유명무실하다는 사실.
그래서 서울과 비교해봄.
https://data.seoul.go.kr/dataList/OA-12914/S/1/datasetView.do
열린데이터광장 메인
데이터분류,데이터검색,데이터활용
data.seoul.go.kr
마곡나루역 정도 될려면, 일일 평균 2만명이상, 연간 1천만명 이상 이용해야 10년간 천지개벽이 가능한 것.
부산자료 한 번 찾아봄.
부산에 어지간한 역은 바르는 수준이네,,, 마곡나루역이...;;;
강서구청역만 소팅.
마곡나루형님 ㅈㅅㅈㅅ; 다신 안까불께요.
지방에서는 함부로 지하철 보고 부동산 투자하지 말자.
투자하지 말자가 아니라,
최우선순위 지표로 삼을 수 없다.
서울 사는 사람들은 차 없어도 그다지 불편하지 않다는 사람이 많은데,
부산 사는 사람들은 차 없으면 엄청 불편함!!
'부동산 - 나만의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용증명 양식 - 우체국 내용증명(온라인) (0) | 2022.06.15 |
---|---|
부전~마산 복선전철 현황 2022년 6월 (0) | 2022.06.03 |
국세청_사업자현황_100대 생활업종 (0) | 2022.05.28 |
광주 도시철도 2호선 진행상황 (0) | 2022.05.15 |
남에게 조언 함부로 하지 마라.txt (0) | 2022.02.14 |
댓글